[Linux] ping, traceroute, netstat 네트워크 상태 확인

서버를 운영하거나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할 때
네트워크 상태를 빠르게 점검할 수 있는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리눅스에서는 ping, traceroute, netstat 명령어로
네트워크 연결, 경로, 포트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ping – 연결 테스트

ping은 대상 서버에 ICMP 패킷을 보내 응답 속도와 연결 여부를 확인합니다.

✔ 사용 예제

ping 8.8.8.8

구글 DNS 서버(8.8.8.8)로 핑을 보내 응답 시간을 확인합니다.
연결이 끊겼다면 응답이 없거나 패킷 손실률이 표시됩니다.

✔ 횟수 제한

ping -c 4 google.com

-c 4 옵션으로 4회만 시도 후 종료합니다.

 

 

2. traceroute – 경로 추적

traceroute는 목적지까지 패킷이 거치는 경로(라우터 hop)를 보여줍니다.
지연 구간을 찾거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할 때 유용합니다.

✔ 설치 필요할 수 있음

sudo apt install traceroute  # Ubuntu/Debian
sudo dnf install traceroute  # RHEL/CentOS

✔ 사용 예제

traceroute google.com

각 라우터를 거치며 응답 시간을 표시하므로
어느 구간에서 네트워크가 느려지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2. netstat – 네트워크 포트/연결 상태

netstat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포트, 연결 상태, 라우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열려 있는 포트, LISTEN 중인 서비스, ESTABLISHED 연결 등을 볼 때 사용합니다.

✔ 현재 열려 있는 포트 확인

sudo netstat -tuln
  • -t: TCP
  • -u: UDP
  • -l: LISTEN 상태만 표시
  • -n: 호스트명 대신 IP와 포트번호로 표시

✔ 모든 연결 상태 보기

netstat -an

최근에는 ss 명령어가 netstat를 대체하는 추세이며,
같은 옵션으로 더 빠르고 가볍게 작동합니다:

ss -tuln

 

 

 

네트워크 점검의 첫걸음

ping, traceroute, netstat는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할 때 가장 먼저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도구들입니다.
이들 명령어로 연결 여부, 경로, 포트 상태를 확인하고 원인을 좁혀보세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후에는 tcpdump, nmap 같은 고급 도구로 더 깊이 분석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