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API를 테스트해야 할 일이 무수히 많습니다.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가 Postman과 Insomnia입니다.두 도구의 차이점과 설정 방법, 그리고 Spring Boot 기반 REST API 테스트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Postman과 Insomnia, 어떤 도구인가?PostmanUI가 직관적이며 팀 협업 기능이 잘 갖춰져 있음API 문서화, Mock 서버, Test 스크립트 작성 기능 지원클라우드 동기화 기능 탑재 (계정 로그인 필요)Windows, macOS, Linux, Web 버전 지원Insomnia경량화된 UI로 빠르고 단순한 요청 테스트에 적합환경변수 설정이 편리하고 YAML 기반 설정 파일로 버전 관리에 유리GraphQL, gRPC ..
Spring Boot에서는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파일을 통해 설정값을 외부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때 Java 코드에서 해당 값을 읽어오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 @Value 어노테이션입니다. 1. @Value란 무엇인가?@Value는 Spring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기능 중 하나로, 외부 설정 파일에 정의된 값을 필드, 생성자, 메서드 파라미터 등에 주입할 수 있게 해줍니다.@Value("${설정키}")private 자료형 변수명;Spring Boot의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에 있는 값을 필드로 바로 읽어와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편합니다...
Spring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REST API를 개발하다 보면 @Controller와 @RestController를 언제 어떻게 써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둘 다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지만, 사용하는 목적과 동작 방식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실무에서 자주 마주하는 이 두 어노테이션의 개념과 차이, 사용 사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Controller – 전통적인 MVC 패턴을 위한 어노테이션@Controller는 Spring MVC에서 View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핵심은 메서드의 반환값이 View의 이름이라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JSP, Thymeleaf 같은 템플릿 엔진과 함께 사용됩니다.@Controller..
Spring Framework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가장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로 이어지는 3계층 구조입니다.각 계층의 역할과 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지,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왜 계층 구조를 사용하는가?애플리케이션이 성장할수록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고 변경 사항이 다른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드의 책임을 분리하고 명확한 역할을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패턴은 이러한 관심사의 분리를 구조화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2. 각 계층의 역할2.1 Controller 계층Controller는 클라이언트(..
Java와 Spring Boot를 처음 배우는 분들이 가장 먼저 접하는 예제가 바로 Hello World REST API입니다.Spring Boot를 사용해 최소한의 설정만으로 간단한 REST API를 구현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프로젝트 생성Spring Initializr 사용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https://start.spring.io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하세요.Project: Gradle 또는 MavenLanguage: JavaSpring Boot: 3.x 이상Dependencies: Spring Web프로젝트를 생성하고 IDE(IntelliJ 등)에서 열어주세요. 2. 기본 디렉터리 구조src └─ main ├─ java │ ..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클래스가 @SpringBootApplication이 붙은 메인 클래스입니다. 많은 초보 개발자들이 "이 어노테이션이 정확히 뭘 해주는 거지?"라는 의문을 갖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BootApplication의 내부 동작과 구성 요소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SpringBootApplication의 역할@SpringBootApplication은 단일 어노테이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어노테이션을 합쳐놓은 메타 어노테이션(Meta-Annotation)입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기본 설정을 자동으로 제공합니다. 2. 내부 구성 요소@SpringBootApp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