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은 데이터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유지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MySQL에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제약 조건(constraints)과 기술들이 사용됩니다.
1.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는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되며 신뢰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제약 조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고 관리합니다. 무결성이 깨지면 잘못된 데이터가 시스템에 유입되어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제약 조건
MySQL에서는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제약 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제약 조건은 데이터가 입력될 때, 수정될 때, 삭제될 때 데이터를 검증하고 조건에 맞지 않으면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1) PRIMARY KEY (기본 키)
PRIMARY KEY는 테이블에서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키는 각 행에 대해 고유한 값을 가지며, NULL 값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CREATE TABLE users (
user_id INT PRIMARY KEY,
username VARCHAR(100) NOT NULL
);
위 예시에서 user_id
는 기본 키로 설정되어, 각 사용자는 고유한 user_id
값을 가집니다. 기본 키는 테이블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방지하고 고유성을 보장합니다.
2) UNIQUE (고유 제약 조건)
UNIQUE 제약 조건은 특정 컬럼의 값이 테이블 내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기본 키와 다르게 고유 제약 조건은 NULL 값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CREATE TABLE users (
email VARCHAR(255) UNIQUE,
username VARCHAR(100) NOT NULL
);
위 예시에서 email
컬럼에 고유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이메일 주소가 중복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3) NOT NULL (널 값 허용 안함)
NOT NULL 제약 조건은 특정 컬럼에 NULL 값이 저장되지 않도록 강제합니다. 데이터가 필수로 입력되어야 할 때 사용됩니다.
CREATE TABLE users (
user_id INT PRIMARY KEY,
username VARCHAR(100) NOT NULL
);
위 예시에서 username
컬럼에는 NULL 값을 허용하지 않으며, 반드시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4) FOREIGN KEY (외래 키)
FOREIGN KEY 제약 조건은 한 테이블의 컬럼이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 또는 고유 키를 참조하도록 강제합니다. 외래 키는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며, 참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CREATE TABLE orders (
order_id INT PRIMARY KEY,
user_id INT,
FOREIGN KEY (user_id) REFERENCES users(user_id)
);
위 예시에서 orders
테이블의 user_id
는 users
테이블의 user_id
를 참조하는 외래 키입니다. 이 제약 조건은 users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ID로 주문을 생성할 수 없도록 보장합니다.
5) CHECK (제약 조건)
CHECK 제약 조건은 특정 컬럼에 대해 주어진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지 검증합니다. 예를 들어, 나이 컬럼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REATE TABLE users (
user_id INT PRIMARY KEY,
age INT CHECK (age >= 0)
);
위 예시에서 age
컬럼은 0 이상의 값만 저장될 수 있도록 검증합니다.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3. 트랜잭션을 통한 데이터 무결성 보장
MySQL에서는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을 통해 여러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실행할 수 있으며,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실패하면 모든 작업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원자성을 보장하고, 중간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을 안전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START TRANSACTION;
UPDATE accounts SET balance = balance - 100 WHERE user_id = 1;
UPDATE accounts SET balance = balance + 100 WHERE user_id = 2;
COMMIT; -- 모든 작업이 성공하면 커밋
위 예시에서는 은행 계좌 이체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두 계좌의 잔액을 변경합니다.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ROLLBACK
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무결성 관리의 베스트 프랙티스
- 각 테이블에 적절한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필수 필드에는 NOT NULL 제약을 설정하고, 중복 데이터를 방지하기 위해 UNIQUE 제약을 사용합니다.
-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할 때는 FOREIGN KEY를 사용하여 참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여러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고, 오류가 발생하면 원자성(Atomicity)을 보장합니다.
'개발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에서 저장 프로시저와 함수 활용법 (3) | 2025.08.01 |
---|---|
MySQL의 데이터 타입과 그 활용 (3) | 2025.07.30 |
MySQL에서 데이터 정규화와 비정규화 (1) | 2025.07.28 |
MySQL의 ACID 속성 이해하기 (1) | 2025.07.27 |
MySQL에서 JOIN의 종류와 사용법 (1)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