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변수와 데이터 타입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파이썬은 초보자에게 친숙한 언어지만,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한 기본 개념은 꼭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 변수 선언 방법
✔ 주요 데이터 타입
✔ 타입 변환 방법


파이썬 변수와 데이터 타입 정리

1. 변수(Variable)란 무엇인가?

  •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름표"입니다.
  • 파이썬에서는 별도의 타입 선언 없이 값을 대입하면 자동으로 변수 타입이 결정됩니다.
 
x = 10      # 정수형 변수
name = "Alice"  # 문자열 변수
pi = 3.14    # 실수형 변수
is_active = True  # 불리언 변수

2. 변수 이름 짓는 규칙 (Naming Rules)

  • 문자, 숫자, 밑줄(_)로 구성 가능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 대소문자 구별
  • 파이썬 키워드(reserved words)는 사용 금지

예시 (가능한 이름):

user_name = "Tom"
age2 = 20
_is_active = True
 
 

예시 (불가능한 이름):

2age = 20     # 숫자로 시작 ❌
class = "A"   # 예약어 사용 ❌

 


3. 주요 데이터 타입 정리

데이터 타입설명예시
정수 정수형 x = 100
뜨다 실수형 y = 3.14
문자열 name = "Tom"
부울 불리언 (True/False) is_ok = False
목록 리스트 (배열) fruits = ["apple", "banana"]
튜플 튜플 (변경 불가한 리스트) point = (1, 2)
사전 딕셔너리 (key-value 쌍) user = {"id":1, "name":"Tom"}
세트 집합 (중복 없는 자료 모음) colors = {"red", "blue"}

4. 타입 확인하기 – type() 함수

x = 10
print(type(x))  # <class 'int'>
  • type()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타입 변환 (형변환, Type Casting)

필요에 따라 변수 타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정수 → 문자열
num = 123
str_num = str(num)
print(str_num, type(str_num))  # 123 <class 'str'>

# 문자열 → 정수
s = "456"
int_s = int(s)
print(int_s, type(int_s))  # 456 <class 'int'>

# 정수 → 실수
x = 7
float_x = float(x)
print(float_x)  # 7.0

주의: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예: "hello"를 int()로 변환 시도하면 오류)


결론 – 파이썬 변수와 데이터 타입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지만,
어떤 데이터 타입이 저장되는지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본 데이터 타입과 변환 방법만 제대로 알면
더 복잡한 자료구조나 프로그램도 쉽게 다룰 수 있어요!

처음에는 다양한 타입을 직접 만들고 변환해보면서
손에 익히는 연습을 해보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