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의 책상 위에 놓인 작고 둥근 TV. 사실은 그게 게임기라면?
R36T는 바로 그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는 휴대용 게임기입니다. 클래식한 브라운관 TV 디자인에, PSP, NDS, DC 등 다양한 게임을 구동할 수 있는 에뮬 기능까지 담았죠.
하지만 외형만큼 실사용도 만족스러울까요? 감성과 완성도 사이에서 R36T를 세밀하게 리뷰해 보겠습니다.
디자인: 브라운관을 품은 레트로 감성
외형 특징
- 디스플레이 외곽에 둥근 플라스틱 커버를 씌워 마치 CRT TV처럼 보이게 연출
- 상단과 측면에는 채널 돌리듯한 조그 다이얼 디자인
- 전면 스피커 그릴 느낌, 리모컨 같은 버튼 배열
전체적으로 마치 80~90년대 브라운관 TV를 미니어처로 구현한 듯한 디테일입니다. 특히 패널 테두리의 입체감, 채널 노브를 연상시키는 버튼 디자인은 상당히 디자이너의 고민이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조작감과 버튼 구성
부위 | 구성 | 특징 |
전면 | 원형 십자 D패드 / XYAB 버튼 | D패드는 감성은 좋으나 조작감은 아쉬움 |
측면 | 볼륨, 전원, 리셋 스위치 | 딱딱하지만 조작은 쉬움 |
하단 | USB-C, 이어폰, TF 슬롯 | 깔끔한 구성 |
후면 | 백 버튼 4개 | 손가락 위치에 맞춰 기울어진 설계 |
- 아날로그 스틱은 한 쪽만 제공되며, RGB 라이트가 둘레에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독특한 포인트가 됩니다.
- D패드는 감성을 위해 원형으로 만들었지만, 입력 정확도나 커맨드 입력에는 적합하지 않음.
하드웨어 스펙 요약
- 칩셋: RK3326 (코어텍스 A35)
- RAM: 1GB
- 디스플레이: 3.5인치 640×480 IPS
- 배터리: 3000mAh
- 무선: Wi-Fi 지원
- 기타: RGB 라이트, USB-C 충전, 1개 TF 슬롯
5만 원대 제품치고는 제법 준수한 사양이며, 다양한 레트로 게임 구동이 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 및 부팅 경험
전원을 켜면 글리치 이펙트와 함께 ‘GAME’이라는 문구가 뜨며 레트로 TV 스타일의 부팅 애니메이션이 실행됩니다.
기본 OS는 MU1렉 기반이며, UI 스킨도 CRT 컨셉에 맞춰 커스터마이징되어 있어 감성을 더해줍니다.
- 한글 지원: 설정에서 언어 변경 가능
- RGB 라이트: 자동으로 점등되며, 사용자 설정은 불가
실사용 & 게임 경험
- 다양한 게임이 부팅 가능하며, 전반적인 UI 반응은 무난함
- 하지만 디스플레이 크기와 배치가 가장 큰 단점
- 화면이 완전 꽉 차지 않고 검은 테두리(BEZEL)가 남아있음
- 디스플레이와 커버 사이 간격이 커서 반사 및 몰입감 저하
- 게임 실행 시 작은 화면이 컨셉 몰입을 방해하는 점은 확실히 아쉬운 부분
가장 아쉬운 점
- 디스플레이가 작고 베젤이 큼
- D패드 조작감이 떨어짐
- 커버의 굴곡이 반사 유발
요약 & 총평
항목 | 장점 | 단점 |
디자인 | 감성적이고 레트로 TV 느낌 충실 | 실사용에는 다소 불편함 존재 |
조작감 | XYAB 버튼, 아날로그는 양호 | 원형 D패드는 실사용에 불편 |
화면 | IPS고화질 / 감성 UI | 디스플레이 크기 작음 / 몰입감 저하 |
성능 | 레트로 게임 구동 무난 | PSP는 일부 프레임 드랍 발생 |
가격 | 5만 원대 / 저렴한 입문기 | 마감 퀄리티는 보통 수준 |
이런 분께 추천드려요
- 책상 위에 올려놓고 보기만 해도 즐거운 레트로 감성 덕후
- 디자인 컨셉을 중시하고, 가볍게 고전 게임을 즐기는 유저
- 어린 시절 CRT TV를 보며 게임하던 추억이 있는 세대
이런 분께는 비추천
- 완성도 높은 D패드 조작이 중요한 분
- 최신 기기 수준의 디스플레이 몰입감을 원하는 분
- 게임 실사용 목적이 큰 유저 (그럴 땐 R36 클론의 다른 모델을 추천)
'IT 테크 >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텍 Keys-to-go 2 리뷰: 가볍고 조용한 완벽한 휴대용 키보드 (0) | 2025.09.23 |
---|---|
M4 맥미니 리뷰: 컴팩트함 + 고성능, 과연 어느 정도일까? (0) | 2025.09.22 |
BOSE 사운드링크 홈 vs 플러스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 리뷰: 집 안과 야외, 당신의 선택은? (0) | 2025.09.20 |
USB 버전별 특징과 구분하는 방법 (0) | 2025.09.19 |
USB란? 그리고 USB의 역사 – 알아두면 유용한 필수 가이드 (0) | 202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