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출력된 PCB 활용 시 주의사항과 회로 오류 피하기

3D 프린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회로 제작에도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3D 프린터로 출력한 PCB’는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 인쇄 품질, 전도성 확보 문제 등으로 인한 회로 오류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3D 프린터 PCB의 개념

3D 프린터 PCB란 전도성 잉크나 금속 필라멘트를 사용해 회로 패턴을 직접 인쇄한 인쇄회로기판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화학적 에칭 공정 대신 적층 방식(Additive Manufacturing)으로 제작되며, 실험용 또는 소형 IoT 기기 프로토타입에 많이 사용됩니다.

  • 적용 기술: FDM(융착 적층), SLA(광경화 수지), Inkjet 기반 금속 프린팅
  • 사용 재료: 전도성 PLA, 은(Ag) 나노잉크, 구리 입자 페이스트
  • 주요 장점: 빠른 제작, 저비용, 설계 반복 용이

 

3D 출력 PCB의 한계

3D 프린터로 제작된 PCB는 일반 FR-4 기판보다 전기적·기계적 성능이 낮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문제 유형원인영향

전도성 불량 잉크 내 금속 입자 밀도 부족 저항 증가, 회로 단락
패턴 끊김 레이어 간 접착 불량 개방 회로(Open Circuit)
열손상 PLA 소재의 낮은 내열성 납땜 중 변형, 단선
기판 변형 냉각 불균형 부품 정렬 오류, 신호 간섭

 

전도성 필라멘트 사용 시 주의사항

전도성 필라멘트는 일반 PLA보다 저항이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전도성 PLA의 저항은 약 10Ω/cm 수준으로, 신호 회로나 전원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고전류 회로에는 반드시 구리 테이프 또는 와이어 보강 필요
  • 저속 디지털 회로나 센서 신호용 회로에만 사용 권장
  • 필라멘트 출력 온도(200~220°C)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균일한 도전 경로 확보 가능

 

전도성 잉크(Conductive Ink) 인쇄 시 고려사항

은(Ag) 나노잉크 기반 인쇄 PCB는 높은 전도성을 제공하지만, 경화 온도(100~150°C)와 표면 처리 과정이 중요합니다.

  • 잉크 경화 전 충분한 건조 시간 확보 (약 30분 이상)
  • 저온 경화형 잉크 사용 시 내습성 감소 주의
  • 도전 패턴 두께는 최소 20µm 이상 유지 필요

국내에서는 KISA 인증 기준에 맞춰 EMI 차폐용 잉크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품 실장(SMT) 시 주의할 점

3D 출력 PCB의 표면 거칠기와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납땜이나 부품 실장 시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저온 납(145°C 이하, Sn-Bi 합금) 사용
  • 리플로우보다는 수동 납땜(Hand Soldering) 권장
  • 기판 변형 방지를 위해 평탄한 지그 위에서 작업
  • 접착제(에폭시 등)로 부품 기계적 고정 강화

 

신호무결성 및 EMI 문제

3D 출력된 PCB는 구리층이 얇거나 불균일하기 때문에 EMI(전자파 간섭)에 취약합니다. 신호무결성(SI)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 대책을 적용해야 합니다.

  • 전원과 GND를 가능한 넓게 연결하여 리턴 루프 최소화
  • 차동 신호선 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90Ω 기준)
  • 실드 필름 또는 금속 테이프를 외부에 부착하여 EMI 차단
  • 고속 신호 회로(>10MHz)는 별도 보드로 분리

 

기계적 강도 확보 방법

3D 출력 PCB는 레이어 간 접착력 약화로 인해 충격이나 진동에 약합니다. 특히 커넥터나 스위치 납땜부에서 파손이 잘 발생합니다.

  • 기판 두께를 최소 2mm 이상으로 설계
  • 구조물 내부에 리브(Rib) 추가
  • 커넥터 주변에 강화용 에폭시 도포

 

테스트 및 오류 검증 절차

3D 프린터로 제작된 PCB는 반드시 전기적 연속성 및 절연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검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멀티미터로 오픈 및 단락(Open/Short) 테스트
  2. 저항 측정을 통해 전도 경로 불량 확인
  3. 간단한 회로를 연결해 전압 강하(Vdrop) 측정
  4. 필요 시 AWS EC2 기반 회로 시뮬레이션 툴로 동작 검증

 

자주 묻는 질문 (FAQ)

1. 3D 프린터 PCB로 상용 제품을 만들 수 있나요?

현재는 프로토타입이나 연구용으로 적합하며, 상용 제품에는 내구성과 안정성 문제로 부적합합니다.

2. 전도성 필라멘트와 은 잉크 중 어떤 것이 더 좋나요?

은 잉크는 전도성이 높고 안정적이지만, 공정 비용이 높습니다. 반면 전도성 PLA는 저비용이지만 저전류 회로에만 적합합니다.

3. 3D 프린터 PCB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6개월~1년 내 열화나 전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로 제작한 PCB는 빠른 회로 검증에 매우 유용하지만, 전기적 신뢰성과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충분한 테스트와 보강 설계를 통해 회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미래에는 금속 3D 프린팅과 하이브리드 공정이 결합되어, 고신뢰 3D PCB 제작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