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이로그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호이로그

  • 분류 전체보기 (235) N
    • 개발 (129) N
      • C언어 (0)
      • PHP (5)
      • JAVA (0)
      • Python (10)
      • HTML (0)
      • DB (21) N
      • NestJS (3)
      • 리눅스 (53)
      • 구글지도 (29)
      • 기타 (8)
    • IT 테크 (103) N
      • 리뷰 (76)
      • 기타 (25) N
    • 기타 (1)
  • 홈
  • 태그
  • 방명록

MySQL에서 샤딩(Sharding) 기법

MySQL에서 샤딩(Sharding)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개의 분할된 서버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법입니다.샤딩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샤딩(Sharding) 기법이란?샤딩(Sharding)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분할하여 저장하는 기술로, 각 서버는 데이터의 일부만을 저장합니다. 샤딩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확장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샤딩은 수평적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이라고도 하며, 테이블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나누어 저장합니다.샤딩의 주요 특징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평 확장성 제공단일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 성능 최적화각 서버에서..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9.
  • textsms

MySQL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복제 설정하기

MySQL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복제(Master-Slave Replication)는 데이터베이스의 고가용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방법입니다.마스터 서버에서 데이터를 변경하면, 그 변경 사항이 자동으로 슬레이브 서버에 복제되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읽기 작업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1. 마스터-슬레이브 복제란?마스터-슬레이브 복제는 MySQL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복제 기능을 통해 마스터 서버에서 발생한 모든 데이터 변경 사항을 슬레이브 서버로 자동으로 복사하는 방식입니다. 마스터 서버는 데이터 변경 작업을 처리하고,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 서버의 데이터를 읽기 전용으로 복제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부하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마스터-슬레이브 복제의 주요 장점데이터베이스 읽기 성능 향상: 슬..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8.
  • textsms

MySQL에서 파티셔닝(Partitioning) 활용법

MySQL에서 파티셔닝(Partitioning)은 대규모 테이블을 더 작은, 관리 가능한 여러 파티션으로 분할하는 기술입니다.파티셔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MySQL 파티셔닝이란?파티셔닝(Partitioning)은 하나의 테이블을 여러 개의 물리적 파티션으로 나누는 기법으로, 데이터의 관리와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파티션은 독립적으로 관리되며, 쿼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하며, 파티셔닝을 통해 검색 성능을 개선하고, 데이터 유지 관리가 쉬워집니다.파티셔닝의 주요 장점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성능 최적화데이터의 물리적 분할을 통해 관리 효율성 증가특정 범위의 데이터만 검색할 때 ..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7.
  • textsms

MySQL에서 데이터 복제(Replication) 설정하기

MySQL에서 데이터 복제(Replication)은 한 서버에서 발생한 변경 사항을 다른 서버에 자동으로 복사하는 기술입니다. 데이터 복제는 고가용성, 부하 분산, 백업 등의 목적을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마스터-슬레이브 복제 방식은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1. MySQL 데이터 복제란?데이터 복제(Replication)는 한 MySQL 서버(마스터)에서 수행된 데이터를 다른 서버(슬레이브)에 자동으로 복사하는 과정입니다. 복제된 서버는 읽기 전용으로 운영되며, 데이터베이스 부하 분산을 위해 슬레이브 서버에서 쿼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가 가능합니다.복제의 주요 특징마스터 서버에서 발생한 데이터 변경..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6.
  • textsms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과 복원 방법

데이터베이스는 기업의 중요한 자산이며, 이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MySQL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백업과 복원 기능을 통해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필요할 때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1.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 방법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은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혹은 일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백업을 통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복구 시 빠르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MySQL에서는 주로 `mysqldump`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백업을 수행합니다.1.1. `mysqldump` 명령어를 사용한 백업mysqldump는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데이터를 SQL 파일로 덤프..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5.
  • textsms

MySQL에서 외래 키(Foreign Key) 설정 방법

MySQL에서 외래 키(Foreign Key)는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제약 조건입니다. 외래 키를 사용하면, 한 테이블의 데이터가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1. 외래 키(Foreign Key)란?외래 키(Foreign Key)는 하나의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컬럼을 의미합니다. 외래 키는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며, 한 테이블의 데이터가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에 의존하도록 만듭니다. 외래 키 제약 조건은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을 보장하여, 부모 테이블에 없는 값이 자식 테이블에 삽입되지 않도록 합니다.외래 키의 주요 기능두 테이블 간의 관계 정의자식 테이블의 데이터가 부..

  • format_list_bulleted 개발/DB
  • · 2025. 8. 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35) N
    • 개발 (129) N
      • C언어 (0)
      • PHP (5)
      • JAVA (0)
      • Python (10)
      • HTML (0)
      • DB (21) N
      • NestJS (3)
      • 리눅스 (53)
      • 구글지도 (29)
      • 기타 (8)
    • IT 테크 (103) N
      • 리뷰 (76)
      • 기타 (25) N
    • 기타 (1)
최근 글
최근 댓글
태그
  • #구글지도
  • #routesapi
  • #googlemap
  • #google지도api
  • #서버관리
  • #리눅스명령어
  • #mysql
  • #리눅스기초
  • #api가이드
  • #db
전체 방문자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