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apt, yum, dnf 패키지 관리자 사용법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는 보통 소스 코드를 직접 컴파일하지 않고,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합니다.
각 배포판에 따라 사용하는 명령어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개념과 사용법은 비슷해요.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패키지 관리자 세 가지: apt (Ubuntu/Debian), yum (CentOS 7 이하), dnf (CentOS 8, Fedora 등) 의 사용법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패키지 관리자란?

패키지 관리자란, 소프트웨어의 설치, 삭제, 업데이트, 의존성 관리 등을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저장소(리포지터리)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가져와 자동으로 설치해줍니다.

 

apt (Ubuntu, Debian 계열)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삭제

sudo apt remove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apt list --installed

시스템 업그레이드

sudo apt upgrade      # 설치된 패키지만 업그레이드  
sudo apt full-upgrade  # 의존성까지 고려한 전체 업그레이드

 

yum (CentOS 7 이하, RHEL 등)

패키지 목록 캐시 업데이트

sudo yum makecache

패키지 설치

sudo yum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삭제

sudo yum remove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 목록

yum list installed

시스템 전체 업데이트

sudo yum update

※ yum은 CentOS 8 이후로 dnf로 대체되었습니다.

 

dnf (CentOS 8 이상, Fedora 등)

dnf는 yum의 차세대 버전으로, 속도와 의존성 관리가 더 향상된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sudo dnf makecache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삭제

sudo dnf remove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 목록

dnf list installed

시스템 업그레이드

sudo dnf upgrade

dnf는 기존 yum과 대부분의 사용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쉽게 전환할 수 있어요.

 

공통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명령

패키지 검색

apt   → apt search 패키지명  
yum   → yum search 패키지명  
dnf   → dnf search 패키지명

패키지 정보 확인

apt   → apt show 패키지명  
yum   → yum info 패키지명  
dnf   → dnf info 패키지명

 

배포판에 맞는 패키지 관리 방법 익히기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설치하고 관리하려면 패키지 관리자 사용법을 꼭 익혀야 합니다.
각 배포판마다 명령어 이름이 다를 수 있지만, 기본 흐름은 거의 같으니 한 번 익혀두면 모든 시스템에서 응용할 수 있어요.

Ubuntu를 쓰고 있다면 apt, CentOS 8이라면 dnf, 그리고 CentOS 7에서는 yum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