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 MCP란? 개발자 도구의 USB-C, 표준으로 진화하는 연결 방식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nthropic가 2024년 11월 발표한 AI와 외부 툴, 데이터 소스 연결을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USB‑C 포트처럼, AI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문서, 코드 저장소 등과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예전에는 LLM 기반 앱을 외부 데이터와 연동하려면 각각 맞춤형 커넥터를 제작해야 했는데, MCP는 바로 이 복잡한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합니다.

 

 

 


MCP가 중요한 이유: 통합의 문을 열다

MCP는 AI가 실제로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Claude 데스크탑 앱은 MCP를 통해 GitHub에 연결해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거나 풀 리퀘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 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 구성으로요.

다른 사례로는 토스페이먼츠의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 있습니다. MCP를 활용해 AI가 코딩 문맥과 문서를 이해하고, 사업자가 복잡한 코드를 일일이 분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도와줍니다.

 

 


MCP의 구조와 작동 방식

MCP는 JSON-RPC 2.0 기반의 메시지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합니다. AI 모델(MCP 클라이언트)은 기능 요청을 보내고, MCP 서버는 외부 도구와 상호작용한 뒤 데이터를 포맷해 반환합니다.

SDK는 Python, JavaScript, Java, C#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이 구조 덕분에 어떤 AI 앱이든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게 되었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

 


MCP의 현재 활용과 시장 확산

  • OpenAI, Google DeepMind가 MCP를 채택했으며,
  • Replit, Sourcegraph, Block 같은 기업도 도구에 통합했습니다.
  • Microsoft는 Windows에 MCP를 도입하고 ‘Windows AI Foundry’ 프로젝트로 확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AI 앱이 Windows 시스템 기능(파일 시스템, WSL 등)에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합니다.

 


보안 이슈와 관리 방식

MCP는 강력한 연결성을 제공하는 반면, 보안 우려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인젝션, 토큰 탈취, 악성 서버 위장 같은 공격 벡터가 지적되었습니다.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해, Microsoft는 사용자 동의 기반의 허가 시스템, MCP 레지스트리 관리, 안전 가이드라인을 도입했습니다.

 

 


MCP가 만드는 미래 코딩 환경

기능 영역 설명
표준화된 연결 방식 AI가 다양한 툴과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통합 가능
개발자 생산성 향상 커스텀 연동 필요 없이 빠른 통합 가능
멀티툴 협업 Claude, Replit 등 여러 AI 도구가 동일 환경에서 활용 가능
광범위한 지원 OpenAI, Microsoft, DeepMind 등 주요 업체 채택
보안 안전성 사용자 동의 기반, 레지스트리 관리, 보안 정책 마련
 

 

MCP는 이제 AI 코딩 환경의 중추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I가 단순히 똑똑한 동료를 넘어, 실제 시스템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 표준 다리 역할을 하며 발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