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최적화 방법: 성능을 높이는 실전 팁

 

MySQL에서 데이터를 많이 다루다 보면, 성능 저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숙제입니다.
인덱스, 파티셔닝, 쿼리 튜닝 등 여러 기법을 활용하면 서버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쓰면서도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인덱스 최적화: 필요한 인덱스만 똑똑하게

  • WHERE 절에 사용되는 컬럼에 인덱스 추가
  • 복합 인덱스는 자주 검색하는 컬럼 순서대로 지정
  • 불필요한 인덱스는 INSERT/UPDATE 성능 저하 원인

EXPLAIN SELECT로 실제 인덱스 사용 여부 확인은 필수입니다.

CREATE INDEX idx_user_created ON users(user_id, created_at);

2. 파티셔닝: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쪼개기

기간 기반으로 쿼리하는 경우 파티셔닝이 큰 효과를 줍니다.

CREATE TABLE logs (
  id INT,
  created_at DATE,
  msg TEXT,
  PRIMARY KEY (id, created_at)
)
PARTITION BY RANGE (YEAR(created_at)) (
  PARTITION p2022 VALUES LESS THAN (2023),
  PARTITION p2023 VALUES LESS THAN (2024)
);

3. 배치 처리로 트랜잭션 부담 줄이기

한 번에 10만 건 처리 대신, LIMIT 또는 ID 범위로 분할 처리:

DELETE FROM big_table WHERE id BETWEEN 10001 AND 20000;

4. 쿼리 튜닝: EXPLAIN으로 실행 계획 점검

EXPLAIN을 통해 type이 ALL이면 인덱스 미사용 상태이므로 최적화 필요.

EXPLAIN SELECT * FROM orders WHERE user_id = 123;

5. 읽기/쓰기 분리로 부하 분산

마스터는 INSERT/UPDATE/DELETE, 슬레이브는 SELECT 처리로 부하 감소.
프록시 또는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라우팅 구현 가능.

6. 캐싱과 통계 갱신 활용

  • 자주 조회되는 결과는 Redis 등 외부 캐시 활용
  • 통계 정보 최신화로 옵티마이저 정확도 유지
ANALYZE TABLE large_table;

7. 기타 실전 팁 요약

항목 설명
TEXT/BLOB 필드 별도 테이블로 분리하여 최적화
불필요한 인덱스 삭제 시 DML 성능 향상
JOIN 최적화 인덱스가 적용된 컬럼으로 JOIN
DB 파라미터 튜닝 innodb_buffer_pool_size 등 메모리 기반 조정

구조부터 점검하고 성능 튜닝을 시작하세요

무작정 데이터를 쌓기보다는, 미리 구조를 점검하고 최적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