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에서 트랜잭션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동시에 충돌(conflict)과 데드락(deadlock)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트랜잭션 충돌 유형과 그 해결 방안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트랜잭션 충돌이란?
두 개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동일한 자원(레코드)을 수정하거나 조회하려 할 때, 잠금(LOCK)이 발생하고 대기가 길어지거나 데드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 충돌 유형
- 락 대기(Lock Wait): 한 트랜잭션이 잠근 자원을 다른 트랜잭션이 기다리는 상태
- 데드락(Deadlock): 서로가 필요한 자원을 상대가 보유하고 있어 무한 대기 상태
- 갱신 손실(Lost Update): 동시에 업데이트해 이전 값이 사라지는 문제
데드락 방지 및 해결 방법
1. 트랜잭션 범위 최소화
트랜잭션 내에서 처리해야 할 쿼리를 빠르게 실행하고,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 COMMIT하거나 ROLLBACK 하도록 합니다.
2. 데이터 접근 순서 일관성 유지
모든 트랜잭션에서 동일한 순서로 테이블이나 레코드에 접근하도록 구현하면 데드락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인덱스 최적화
WHERE 조건에 맞는 적절한 인덱스가 없으면 풀스캔이 발생하고, 다수의 행이 락될 수 있습니다.
CREATE INDEX idx_user_id ON users(user_id);
4. FOR UPDATE 사용 시 주의
SELECT ... FOR UPDATE
는 잠금을 발생시킵니다.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테이블 전체 범위가 아닌 WHERE 조건으로 범위 제한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5. LOCK WAIT TIMEOUT 설정
MySQL에서는 일정 시간 이상 락이 지속되면 자동으로 타임아웃이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T innodb_lock_wait_timeout = 5;
데드락 감지와 로그 확인
MySQL은 데드락 발생 시 자동으로 한 쪽 트랜잭션을 롤백시키고, SHOW ENGINE INNODB STATUS
명령어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HOW ENGINE INNODB STATUS\G
트랜잭션 충돌 최소화를 위한 팁
- 가능하면 읽기와 쓰기 트랜잭션을 분리
- 배치 업데이트는 단위별 처리 (예: LIMIT 1000씩)
- READ COMMITTED 격리 수준 권장 (불필요한 공유 잠금 방지)
- AUTOCOMMIT 설정 확인: 자동 커밋 모드에서 불필요한 락 최소화
MySQL에서의 트랜잭션 충돌은 무조건 피할 수는 없지만, 충분한 이해와 예방 전략을 통해 성능 저하와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실무에 적용해보시고, 상황에 맞는 트랜잭션 설계를 고민해보세요.
'개발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에서 외부 서버와의 연동 방법 (1) | 2025.09.01 |
---|---|
MySQL에서 로깅과 모니터링을 통한 문제 해결 (1) | 2025.08.31 |
MySQL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최적화 방법: 성능을 높이는 실전 팁 (1) | 2025.08.29 |
MySQL에서 자동화된 스케줄러 사용하기 (1) | 2025.08.28 |
MySQL에서 쿼리 최적화: 실행 계획 분석하기 (2)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