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리눅스 파일/디렉토리 구조 완전 정리

리눅스를 처음 접하면 낯선 디렉토리 이름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 /home, /etc, /var... 과연 이 폴더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 걸까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트리(Tree) 구조로 되어 있어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가 하나의 루트(/) 아래에 가지처럼 뻗어 있습니다.

오늘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기본 구조와
주요 디렉토리들이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리눅스 주요 디렉토리 살펴보기

1. / (루트 디렉토리)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디렉토리입니다.
  •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이 루트 디렉토리에서 출발합니다.

2. /bin (Binary)

  • 시스템이 부팅하고 기본적으로 동작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들이 들어 있는 곳입니다.
  • 예를 들면 ls, cp, mv, bash 같은 명령어가 여기에 있습니다.

3. /boot

  • 부팅과 관련된 중요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 커널 이미지나 부트로더 설정 파일 등이 이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4. /etc

  •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정보, 다양한 서비스 설정 파일이 여기에 있습니다.

5. /home

  • 사용자의 개인 공간입니다.
  • 각각의 사용자는 /home/사용자명 형태로 자신만의 폴더를 가지고 파일을 저장하고 작업할 수 있습니다.

6. /lib, /lib64

  •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실행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 있습니다.
  • 쉽게 말해, 실행 파일을 지원하는 조력자 파일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7. /opt

  • 추가로 설치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 예를 들면, 별도로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opt 폴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8. /srv

  •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Web, FTP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9. /tmp

  •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만들어 놓은 파일들이 이곳에 저장되며, 보통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비워집니다.

10. /usr

  • 사용자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모여 있습니다.
  • /usr/bin, /usr/lib, /usr/share 등으로 세분화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위치합니다.

11. /var

  •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변경되는 데이터(로그 파일, 메일, 캐시 등)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 특히 /var/log 안에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다양한 로그들이 기록됩니다.

결론

리눅스 파일 구조는 처음에는 복잡해 보여도,
하나하나 역할을 이해하고 나면 훨씬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파일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어떤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면
시스템을 다루는 데 훨씬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home이나 /etc처럼 자주 사용하는 디렉토리부터 익숙해지고,
필요할 때마다 다른 디렉토리도 하나씩 살펴보는 방법을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