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f – 전체 디스크 사용량 보기
✔ du – 폴더별 사용량 자세히 보기
서버나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디스크 용량이 왜 이렇게 부족하지?"
"어떤 폴더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지?"
이런 궁금증이 생기곤 하죠.
이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입니다.
df, du로 디스크 상태 살펴보기
1. df: 디스크 전체 사용량 확인
df는 시스템 전체의 파일 시스템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df -h
- -h : human-readable, 즉 MB/GB 단위로 보기 좋게 표시
- 결과 예시: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100G 60G 35G 64% /
tmpfs 16G 0 16G 0% /dev/shm
주요 항목 설명:
- Size : 전체 용량
- Used : 사용 중인 용량
- Avail : 남은 용량
- Use% : 사용률 (70~80% 이상이면 주의)
자주 쓰는 옵션들:
- df -T : 파일 시스템 타입도 함께 보기
- df -h /home : 특정 경로에 연결된 디스크 정보 보기
2. du: 디렉토리별 사용량 확인
전체가 아닌, "어떤 폴더가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알고 싶을 땐 du를 사용합니다.
du -sh *
- -s : 요약 (summary)
- -h : 보기 좋은 단위로 표시
- * : 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항목 대상
예시 결과:
1.1G backup
500M logs
20K notes.txt
특정 디렉토리 하위 전체를 보고 싶을 땐:
du -h /var | sort -hr | head -n 10
- /var 아래 폴더 사용량을 모두 보고,
- sort로 정렬해서,
- 가장 많이 차지하는 상위 10개를 출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어느 경로가 디스크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3. df와 du의 차이점 정리
항목 | df | du |
보여주는 범위 | 전체 디스크/파일시스템 | 디렉토리/파일별 |
용도 | 전체적인 상태 파악 | 상세한 폴더 분석 |
측정 단위 | 파일시스템 단위 | 실제 파일 용량 기준 |
두 명령어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입니다.
디스크가 부족할 때,
df로 전체 상태를 보고,
du로 어디가 문제인지 추적하는 식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디스크 사용량, 미리미리 관리하세요
디스크가 가득 차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로그가 기록되지 않거나, DB가 멈출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가끔씩이라도 df, du 명령어로
디스크 상태를 점검해보는 습관을 들여보시면 좋습니다.
- df -h로 전체 용량 파악
- du -sh *로 폴더별 사용량 확인
- 정리할 수 있는 폴더는 주기적으로 관리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ptime, w 명령어로 시스템 부하 확인하기 (0) | 2025.05.17 |
---|---|
free, vmstat로 메모리 상태 점검하기 (0) | 2025.05.16 |
[Linux] 리눅스 kill 명령어로 프로세스 종료하기 (0) | 2025.05.14 |
[Linux] ps, top, htop으로 프로세스 모니터링하기 (0) | 2025.05.13 |
[Linux] 리눅스 touch 명령어로 파일 다루기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