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time – 시스템 부팅 이후의 가동 시간과 부하(load average) 확인
✔ w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시스템 부하 확인
서버가 느리게 느껴지거나, 갑자기 응답이 늦어질 때
“지금 시스템이 많이 바쁜 걸까?”
라는 의문이 생기곤 하죠.
이럴 때 간단하게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uptime, w로 시스템 상태 점검하기
1. uptime – 가동 시간과 부하(load average) 확인
uptime
예시 출력:
13:24:10 up 5 days, 2:33, 2 users, load average: 0.12, 0.25, 0.30
해석해 볼까요?
- 13:24:10 : 현재 시각
- up 5 days, 2:33 : 시스템이 5일 2시간 33분 동안 켜져 있었음
- 2 users :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 수
- load average: 0.12, 0.25, 0.30 : 1분, 5분, 15분 평균 시스템 부하
Load Average란?
- CPU가 처리해야 할 작업의 평균 개수입니다.
- 예를 들어, CPU가 2개인 시스템에서 load average가 1.00이면 적당히 사용 중.
- 2.00을 초과하면 작업이 밀리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어요.
기준은 CPU 코어 수입니다.
코어 수보다 수치가 높다면 과부하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2. w – 로그인 사용자 정보와 부하 한눈에 보기
w
예시 출력:
13:30:01 up 5 days, 2:39, 2 users, load average: 0.20, 0.30, 0.32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ubuntu pts/0 192.168.0.5 10:01 2:00 0.10s 0.10s -bash
admin pts/1 192.168.0.10 10:30 1:05 0.30s 0.20s htop
이 명령어는 uptime 정보와 함께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와 각 사용자의 작업 상태도 보여줍니다.
- USER: 사용자 이름
- TTY: 사용 중인 터미널
- FROM: 접속한 클라이언트 주소
- LOGIN@: 로그인 시간
- IDLE: 마지막 입력 후 대기 시간
- JCPU, PCPU: 전체 및 현재 프로세스의 CPU 사용 시간
- WHAT: 사용 중인 프로그램이나 명령어
관리 중인 서버에 누가 접속해 있는지,
무엇을 실행 중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보안 측면에서도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간단하게, 하지만 강력한 진단 도구
시스템 상태를 점검한다고 해서 복잡한 툴이 꼭 필요한 건 아닙니다.
uptime, w처럼 간단한 명령어만으로도
서버가 얼마나 오래 켜져 있었는지,
현재 부하가 어느 정도인지,
누가 접속해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충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uptime: 시스템 부하 상태와 가동 시간 확인
- w: 로그인 사용자 정보 + 부하 정보 한눈에
서버 상태 점검이 필요할 때 가장 먼저 써보면 좋은 명령어들이에요.
가볍고 빠르게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 보세요.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journalctl 로그 조회하는 방법 (0) | 2025.06.23 |
---|---|
[Linux] systemctl로 서비스 시작/중지/재시작 관리 (0) | 2025.05.18 |
free, vmstat로 메모리 상태 점검하기 (0) | 2025.05.16 |
[Linux] df, du로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 (0) | 2025.05.15 |
[Linux] 리눅스 kill 명령어로 프로세스 종료하기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