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시작/중지
✔ 재시작 및 상태 확인
✔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리눅스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실행 중입니다.
예를 들어 웹 서버인 Nginx, 데이터베이스인 MySQL 같은 것들이죠.
이런 서비스들을 시작하거나 중지하고,
상태를 확인하거나 재시작하는 일은
운영이나 개발 환경에서 자주 필요한 작업입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systemctl입니다.
systemctl의 기본 사용법
1. 서비스 시작하기
sudo systemctl start [서비스이름]
예시:
sudo systemctl start nginx
해당 서비스를 바로 시작합니다.
출력 메시지는 없지만, 에러가 없으면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입니다.
2. 서비스 중지하기
sudo systemctl stop [서비스이름]
예시:
sudo systemctl stop nginx
실행 중인 서비스를 중지할 때 사용합니다.
3️⃣ 서비스 재시작하기
sudo systemctl restart [서비스이름]
예시: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보통 설정 파일을 수정한 뒤 적용하려면
서비스를 재시작해줘야 하죠. 그럴 때 사용합니다.
4. 서비스 상태 확인하기
systemctl status [서비스이름]
예시:
systemctl status nginx
해당 서비스가 지금 실행 중인지, 마지막으로 실행된 로그는 어떤지
친절하게 보여줍니다.
5. 서비스 자동 실행 설정 (부팅 시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서비스이름]
예시:
sudo systemctl enable nginx
서버가 재부팅되더라도 자동으로 시작되게 설정할 수 있어요.
6. 서비스 자동 실행 해제
sudo systemctl disable [서비스이름]
예시:
sudo systemctl disable nginx
특정 서비스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걸 막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서비스 관리를 더 편리하게
리눅스 시스템에서 서비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을 잘 다루기 위해선 systemctl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정리:
- start, stop, restart로 즉각적인 제어
- status로 현재 상태 확인
- enable, disable로 부팅 시 실행 여부 설정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방법 (systemd 서비스 만들기) (0) | 2025.06.24 |
---|---|
[Linux] journalctl 로그 조회하는 방법 (0) | 2025.06.23 |
[Linux] uptime, w 명령어로 시스템 부하 확인하기 (0) | 2025.05.17 |
free, vmstat로 메모리 상태 점검하기 (0) | 2025.05.16 |
[Linux] df, du로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