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 IDEA로 Spring Boot 프로젝트 시작하기: 실무 개발자의 노하우 정리

Java 백엔드 개발을 시작하면서 Spring BootIntelliJ IDEA는 사실상 표준 도구입니다. 하지만 처음 프로젝트를 셋업할 때 막히는 부분이 많죠.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IntelliJ에서 세팅하는 가장 깔끔한 방법을 정리해봅니다.

 

사전 준비물

IDEA Ultimate을 쓰면 Spring 관련 기능이 풍부하지만, Community Edition으로도 충분히 개발 가능합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방법 1: Spring Initializr 웹에서 생성

  1. https://start.spring.io 접속
  2. Project: Maven 또는 Gradle 선택
  3. Language: Java
  4. Spring Boot 버전: 안정된 LTS 선택 (예: 3.1.x)
  5. Group: com.example, Artifact: demo
  6. Dependencies: Spring Web, Spring Boot DevTools, Lombok, JPA 등 선택
  7. Generate 버튼 → 압축 해제 → IntelliJ에서 열기

방법 2: IntelliJ에서 바로 생성

  1. IDEA 실행 → New Project
  2. 왼쪽에서 Spring Initializr 선택
  3. JDK 경로 지정 → Group/Artifact 입력
  4. Dependency 선택 (Web, DevTools 등)
  5. Finish → 자동으로 프로젝트 생성

TIP: 첫 실행 시 Gradle이나 Maven 빌드가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안정된 네트워크에서 수행하세요.

 

프로젝트 구조 이해하기

Spring Boot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rc
 └── main
     ├── java
     │    └── com.example.demo
     │          └── DemoApplication.java
     └── resources
          ├── application.properties
          └── static / templates
  • DemoApplication.java: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진입점
  •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파일
  • static/templates: 정적 리소스 및 뷰 템플릿 경로

 

실행과 기본 테스트

실행

  • DemoApplication.java 우클릭 → Run
  • 또는 ./gradlew bootRun 또는 mvn spring-boot:run

기본 테스트

간단한 컨트롤러를 만들어 Hello World 테스트를 해보세요.

// Hello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Spring Boot!";
    }
}

→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 접속하여 확인.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

  • 빌드 에러: Gradle/Maven 리프레시 필요 → Reload All Gradle Projects
  • 포트 충돌: application.propertiesserver.port=8081 등으로 변경
  • @RestController 누락: 빈 등록 실패로 404 발생 → 어노테이션 확인

 

마무리

Spring Boot는 단순한 프레임워크 그 이상입니다. 빠른 개발, 테스트, 배포를 위한 모든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죠. IntelliJ와 함께 사용하면 그 생산성은 더욱 높아집니다.

작은 프로젝트라도 구조를 명확하게 세팅해두면, 나중에 확장할 때도 훨씬 수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