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ata JP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객체를 엔티티(Entity)로 선언하고, 그에 맞는 기본 키(PK)를 설정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Entity, @Id, @GeneratedValue의 역할과 활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1. @Entity – 자바 클래스를 테이블로 매핑@Entity는 해당 클래스가 JPA에서 관리하는 엔티티 객체임을 선언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는 이 어노테이션만 붙이면 DB 테이블과 자동 매핑이 가능합니다.예시:@Entitypublic class User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주의사항:기본 생성자(public User() {})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전자제품을 열어보면 반드시 볼 수 있는 소자가 있습니다. 바로 콘덴서(캐패시터)입니다.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콘덴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부품인데요, 전자부품 콘덴서란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동작하며 어디에 활용되는지를 쉽게 풀어 설명하겠습니다. 콘덴서의 정의와 기본 원리콘덴서의 어원과 명칭‘콘덴서(Condenser)’라는 용어는 예전부터 사용되었지만, 국제 표준에서는 캐패시터(Capacitor)라는 이름이 공식 명칭입니다. 두 개의 도체(전극판) 사이에 절연체(유전체)를 끼워 전기를 저장하는 소자를 말합니다.전기회로에서 콘덴서의 기본 역할콘덴서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방출하는 장치입니다. 마치 물탱크가 물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흘려보내는 것처럼, 콘덴서도 전자를 모았다가 회로가 필..
Spring Boot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JPA는 거의 필수처럼 등장합니다. 그중에서도 Spring Data JPA는 JPA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반복적인 CRUD 코드를 없애고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여줍니다. 1. JPA vs Spring Data JPA – 개념 정리JPA(Java Persistence API): 자바 ORM 표준 명세입니다. Hibernate, EclipseLink 등이 구현체입니다.Spring Data JPA: JPA 위에 얹혀 있는 Spring 기반 프레임워크로, Repository 인터페이스만 정의하면 대부분의 CRUD 기능을 자동 구현해줍니다.즉, JPA는 ORM의 기반이고, Spring Data JPA는 이를 실무에서 더욱 쉽게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생산성 도구입..
로지텍의 플래그십 마우스 MX Master 시리즈가 드디어 새로운 세대인 MX Master 4를 선보였습니다. 2015년 첫 출시 이후 10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온 이 시리즈는, 이번 신제품에서 과연 어떤 변화를 보여줄까요? 실제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 성능, 사용성을 살펴보겠습니다. MX Master 시리즈의 역사와 10년의 변화2015년 첫 등장한 MX Master는 생산성 마우스의 기준을 세운 모델이었습니다. 매 세대마다 업그레이드가 있었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그립감, 무게, 소재 문제로 100% 만족하지 못했죠. 이번 MX Master 4는 출시 10주년을 기념하는 만큼, 디자인과 사용성에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자인 & 크기 변화더 커지고 묵직해진 무게감전작인 MX Mast..
RESTful API를 개발한 뒤, 이를 클라이언트나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공유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API 문서화가 필요합니다. Spring Boot에서는 Swagger (현재는 OpenAPI)를 사용해 자동화된 API 문서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Swagger와 OpenAPI란?Swagger는 API 명세를 작성하고 시각화하며 테스트까지 가능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는 OpenAPI Specification(OAS)이라는 이름으로 발전되었으며, Swagger는 OpenAPI의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OpenAPI: API 명세의 표준 스펙Swagger UI: 명세 기반 문서화 및 테스트 웹 UISwagger Codegen: 클라이언트/서버 코드 자동 생성 2. Spring Boot..
코로나 이후 출장과 여행이 늘면서, “노트북부터 스마트폰까지 한 번에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의 수요가 높아졌습니다.저 역시 여러 브랜드의 보조배터리를 써봤는데요, 최근에 맥세이프 무선 충전 + 145W 고속 충전을 동시에 지원하는 유그린(Ugreen)의 신제품을 직접 사용해봤습니다. 제품 스펙 & 주요 특징유그린 145W 맥세이프 보조배터리는 단순한 휴대용 배터리를 넘어, 사실상 휴대용 충전 허브에 가깝습니다.항목상세 내용배터리 용량20,000mAh (72Wh)최대 출력총합 145W (C1 100W, C2 45W, A타입 22.5W)입력 충전 속도최대 65W (조금 아쉬운 부분)무선 충전맥세이프 15W 지원 (Qi 호환)디스플레이전력량, 배터리 잔량 표시규격 인증기내 반입 가능(100Wh 이하)..